1. 고조선의 성립과 발전
단군의 고조선 건국 이야기
*고조선 건국 신화 기록 사서
삼국유사, 제왕운기, 세종실록지리지, 응제시주, 동국여지승람
단군: 종교 지배자인 제사장
왕검: 정치 지배자인 군장
단군왕검: 제정일치 사회였음을 알 수 있다.
단군이야기: 선민사상
* 고조선은 환웅 부족과 곰 부족이 연합하여 탄생한 국가로,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한다는 홍익인간(弘益人間)을 통치이념으로 내세움
풍백(바람), 우사(비), 운사(구름)들의 존재를 통해 농경 사회였음을 알 수 있다.
고조선의 성장 발전
*고조선은 랴오닝(요령) 지방을 중심을 성장하여 한반도 북부와 대동강 유역까지 세력 범위를 확대하였다.
비파형 동검과 탁자식 고인돌, 미송리식 토기 등의 분포 지역을 통해 고조선의 문화 범위를 추정할 수 있다.
*고조선은 일찍부터 국가 체제를 정비
대외적으로는 랴오허 강(요하)을 경계로 중국의 연과 대립할 정도로 강성해졌다.
그러나 연의 장수 진개의 공격을 받아2000여 리에 이르는 요동 지역을
상실하고 어려움을 겪기도 하였다(기원전 300년), 기원전 3세기경에는
부왕과 준왕 등으로 왕위 세습이 이루어졌고 상, 대부, 장군 등과 같은 관직을 두었다.
위만 조선의 성립과 고조선 사회 모습
*위만은 중국 연나라 사람으로, 중국의 진 ·한 교체기에 1,000여 명의 무리를 이끌고 고조선으로 들어왔다.
고조선의 준왕은 위만에게 서쪽 변경의 수비 임무를 맡겼고, 이후 위만은 세력을 확장하여 준왕을 몰아내고
고조선의 왕이 되었다(기원전 194년)
위만 조선은 철기 문화를 본격적으로 수용하는 한편, 철제 무기를 이용하여 세력을 확장.
또 한반도 남부의 진(辰)과 중국의 한 사이에서 중계 무역으로 많은 경제적 이익을 얻었다.
고조선이 강성해지고 흉노와 연결하여 한을 경계하자, 한무제는 고조선을 공격함.
*조선상 역계경은 한과의 화친을 주장하였으나 우거왕이 듣지 않자 주민 2,000여 호를 거느리고 진국(辰國)에 망명함.
고조선은1년간 완강히 저항하였지만, 지배층의 내분으로 왕검성이 함락되어 멸망하고 말았다(기원전 108년)
*고조선을 멸망시킨 한은 고조선 일부 지역에 4개의 군현(낙랑, 임둔, 진번, 현도)을 설치하였다.
*고조선의 사회 모습은 현재 3개 조항만 전해지고 있는 범금 8조를 통해 짐작할 수있다.
이를 통해 당시 고조선의 생명 존중, 노동력 중시, 농경 사회, 사유 재산 보호, 회폐 사용, 형벌과 노비 존재 등의 사실을 알 수 있다.
고조선은 비교적 평혼한 사회였으나 한에 의해 4개 군현이 설치되면서 풍속이 각박해져 법 조항이 60여개로 늘어났다.